목록프론트엔드 공부 (2)
컴굥일지
회사 코드를 보다보니 .ejs 파일이 있었다. 회사의 프로젝트가 리액트가 나오기 전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바닐라 js, 클래스형 react, 함수형 react가 모두 섞여있다. 이슈들 처리하면서 .ejs 쪽은 볼일이 없었는데, 이번에 새로 맡은 이슈를 처리하려면 .ejs에 대한 이해가 좀 필요할 것 같아서 이번 기회에 찾아보았다. ejs란 Embedded Javascript Template의 약자로, 자바스크립트가 내장되어 있는 html 파일이다. ejs 공식 문서 일단 이 위의 링크는 ejs 공식 문서이다. 사용법이 깔끔하게 적혀있으니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특징 ejs는 html 태그처럼 자바스크립트 내용을 삽입할 수 있다. 일반 html 파일은 태그를 사용해서 javascript를 사용하지만, e..
.ts파일과 .tsx 파일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인턴으로 회사를 다니면서 개발을 하다보니 .ts 파일과 .tsx 파일이 모두 있는 것을 보았다. 둘 모두 타입스크립트 코드인 것은 알겠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몰라서 이번 기회에 알아보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ts는 순수한 typescript 파일이고, .tsx에서는 JSX 문법을 사용할 수 있다. 1. ts 순수 typescript 파일일 때 .ts를 쓰면 된다. 확장자가 .ts인데 JSX 문법을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2. tsx React에서 UI를 구성할 때 쓰는 typescript이다. JSX 문법을 사용하려면 .tsx 파일이어야 한다. 하지만 .ts 파일에서와 달리 를 통한 type assertion을 사용할 수 없다. (as를 사용하는 ..